지진 모니터링 및 예측
인위적인 지진은 주로 저수지로 인한 것이다. 저수지가 지진을 유발하는 기본 원인은 저수지에 활단층이나 저수 조건 하에서 활단층과 같은 수중 침투 통로가 있기 때문이다. 물이 저수지에 침투할 때 단층의 전단 강도는 수위와 침투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단층에 쌓인 구조 응력이 단층의 전단 강도를 초과하면 저수지에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저수지 조사, 특히 암용 지역에서는 제안된 저수지에 갈라진 틈 등 수중 침투 통로가 있는지 밝혀서 저수지 건설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사용된 지구 물리학 방법에는 지진, 전기법, 중력법, 자기법이 포함됩니다.
저수 조건 하에서 저수지의 물이 갈라진 틈이나 용해성 암석을 따라 스며들어 저수지 아래나 부근의 암석 수분 함량이 점차 증가하고, 지하수위의 위치가 점차 상승할 수 있고, 암석의 저항률이 점차 낮아지고, 저수지에서 물이 새는 곳에 누전 장이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저항률법과 자연전기장법을 이용해 저수지 물의 침투 상황을 모니터링해 저수지 저수로 인한 지진의 가능성을 예측하면 뚜렷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림 6-2- 1 은 구 소련 코카서스 지역의 한 대형 저수지가 전기 사측으로 저수지 물의 파열을 모니터링한 결과이다. 쇼초정, 1985. 지구물리탐사는 환경공학지질조사연구에의 응용, 흑룡강지질정보, 1 입니다.
。 전기 사운 딩 모니터링 간격은 1 ~ 2 개월입니다. 그림에서 t0 은 데이터베이스 구축 전 측정 시간이고, t 1 및 T2 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후 두 번의 측정 시간입니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시간에 따라 측정한 곡선 모양이 다릅니다. 곡선 모양의 변화는 지하수 수준의 변화를 반영합니다. 전기 사운 딩 곡선의 정량적 해석을 통해 다른 순간의 지하수 수준을 얻을 수 있습니다. 3 번 측량점에서는 시간에 따라 전기 사운 딩 곡선 형태가 일치해 저수지 누수 범위가 2 번과 3 번 사이인 것으로 나타났고, 전기 사운 딩 작업은 저수지 파열을 따라 물이 새는 동적 수문 지질 활동 과정을 밝혀내고 지하 누수대의 범위를 파악해 저수지 유도 지진을 예측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했다.
그림 6-2- 1 전기 사운 딩으로 저수지 물이 균열을 따라 땅속으로 스며드는 것을 감시한다.
쇼초정 1985 에 따르면
1- 모래 점토 퇴적물; 2- 사운 딩 포인트; 3- 석회암; 4-T0, t 1 및 T2 순간 저수지 건설 전후의 지하수위 대응 위치.
2. 자연 지진 모니터링 및 예측
수중수은의 분산 멀미는 응력과 지온의 변화에 가장 빠르고 민감하며 안정성이 좋고 간섭 요인이 적다. 수중의 수은 함량을 측정하면 수중 수은 증기와 이온 수은의 총 농도와 그 변화를 결정하여 지진을 감시하고 예측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1) 인공진원 주변의 수은 함량 변화
지진이 많은 지역은 일반적으로 지각의 약한 지대와 활동 지대로, 종종 활동 단층대, 온천, 수은의 강한 이상 분포를 동반한다. 지진 지역의 수은 형성을 이해하기 위해 지진 예보에서 수은의 지시 의미를 탐구하기 위해, 전 지질광산부 지구물리지구화학탐사연구소와 국가지진국 지진예보감시센터는 1984 ~ 1986 에서 신장 모 지하핵폭발 지역 주변에서 수은 이상 감시를 실시하고 푸젠남경탕구 지열지역에서 모의 지진실험을 실시했다.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일부 지역의 응력 증가는 인근 지역의 수은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국부적으로 집중된 응력이 방출되면 수은이 비정상적으로 사라진다. 수은이 비정상적으로 사라지는 과정은 응력 방출 과정과 관련이 있다.
2) 응력 변화로 인한 수은 이상은 심부수은원 보급이 아니라 상균형 상태 변화로 인한 것이다.
3) 수은을 측정해 지진예보를 하는 것은 원리와 방법 기술면에서 완전히 가능하다 [4].
(2) 자연지진 전후 지진 지역 및 인근 지역 우물의 수은 함량 변화.
이제 지진 사례로 모니터링 결과를 설명합니다.
베이징 서부 묘봉산 지진 (4. 1) 과 거록지진 (5. 1) 베이징 서부 묘봉산에서 4. 1 지진이 발생했다. 진원지는 수은 모니터링 우물에서 40km 떨어져 있다. 같은 해 6 월 30 일 +065438 허베이거록 5. 1 규모 지진이 발생했다. 수성 관측 우물 진중거는 125km 입니다. 이 두 차례의 지진 전후 베이징역에서 관찰한 우물물 수은 함량 변화 곡선은 그림 6-2-2 에 나와 있다. 정상적인 상황에서 우물물의 수은 함량은 안정적이며 평균은 14 ng/L 로 묘봉산 지진 전 수은 농도가 629.3ng/L 로 배경 평균의 42 배에 달했다. 묘봉산 지진과 사슴의 지진 간격이 짧아 두 번의 지진으로 인한 수은 이상이 눈에 띄게 겹치는 현상이 있다. 약 두 달 후, 물 속의 수은이 정상으로 돌아갔다. 이 예는 국내 최초로 수중 수은 함량을 측정하여 지진 (오, 금 등) 을 감시하는 것이다. , 1994).
그림 6-2-2 베이징 묘풍산과 허베이 거록 지진 전후 베이징역 우물물 속 수은의 변화 곡선
(오 등 편찬에 따르면 1994)
윈난란창 규모 7.6 지진1988165438+10 월 6 일 윈난란창 규모 7.6 지진이 발생했다. 진원지는 서창태화 염원 소각 등 수은 관측정에서 약 600km, 쓰촨 모야온천 관측정에서 840km, 노란관측정에서 950km 떨어져 있다. 1988 년 4 월 쓰촨 회동 5. 1 규모 지진 이후 5 월 초 염원, 태화, 소각정에서 수은 이상이 동시에 발생해 1988 년 2 월 말까지 이상 시간이 발생했다 소각정의 이상폭은 4 월 전 정상치의 30 배, 염원정은 정상치의 20 배, 태화정은 정상치의 50 배다. 그해 65438+2 월 말까지 각 관측정수은 농도가 현저히 낮아져 점차 정상 수준으로 돌아갔다. 진원지에서 멀리 떨어진 쓰촨 마오 (Mao Yan) 와 지안 지진 관측소는 란창 (Lancang) 7.6 지진 이전의 약한 지진에 크게 반응하지 않았지만 란창 지진 이전에 높은 수은 값 이상이 있었다. 1988 년 9 월 5 일 고양이 치아 관측소에서 관찰된 가장 높은 수은 값은 12633ng/L 로 정상치의 23.6 배입니다. 란창 지진은 수은량이 감소하는 시기에 발생한다 (그림 6-2-3). 지진 이후 크고 작은 여진으로 수은 이상이 4 개월 넘게 계속 점프하고 있다.
그림 6-2-3 란캉 지진 전후의 쓰촨 절벽 관측 우물물 속 수은의 변화 곡선
(오 등 편찬에 따르면 1994)
위에서 모니터링한 지진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지진 전후에 수은 이상이 있으며, 비정상적인 범위는 진도와 관련이 있다.
표 6-2- 1 은 각기 다른 진도와 진중거리와 수중 수은 이상에 대한 통계적 관계를 보여준다. 표 6-2- 1 에서 볼 수 있듯이 지진과 수은 이상이 동시에 반영된 횟수 (33 회) 는 통계 횟수 (44 회) 의 75% 를 차지한다. 진중거리 400km 미만의 측량점에서 수성 이상 시점은 규모 5.0 ~ 5.6 지진의 대응 비율이 90%, 400km 보다 큰 대응 비율은 56% 였다. 그러나 진도 7.6 의 강진에 대해 5 개 측량점의 자료에 따르면 수중에는 여전히 뚜렷한 수은 이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6-2- 1 진도와 진중거리와 수중 수은 이상 사이의 관계
(오 등 편찬에 따르면 1994)
요약하자면, 수중 수은 이상을 이용한 지진 감시는 지진 예보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 국가 지진국에 따르면 우리나라 수십 개의 지진 감시소는 수중 수은 이상과 지진의 관계에 근거하여 많은 지진 사례 자료를 얻었다. 수은은 지진 예측에 더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더 큰 성공을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우리는 또한 지진 발생 시기를 정확하게 예측하려면 사람들이 힘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윌리엄 셰익스피어, 템페스트, 희망명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