当前位置 - 무료 법률 상담 플랫폼 - 법률 자문 - 민사 및 상업법의 정직 원칙

민사 및 상업법의 정직 원칙

성실신용원칙은 기본법원칙으로서 민상법 체계에서 이중조정성, 보편규범성, 강한 유연성 등의 법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이중조정은 도덕조정과 법률조정을 가리킨다. 도덕조정은 도덕적 수단, 도덕력, 자성 자율을 통해 주체를 규제하는 민사행위이다. 그것은 시장 경제의 참가자들이 성실하고, 성실하고, 성실하며, 고귀한 문명의' 성실한 상인' 이 될 것을 요구한다. 법률 조정은 법적 수단, 법적 효력 및 외적 제약을 통해 주체를 규제하는 민사 행위이다. 그것은 민사활동 주체가 법에 따라 권리를 행사하고, 의무를 충실히 이행하며, 패션 진보의' 법을 준수하는 시민' 이 될 것을 요구한다. 보편적 규범은 구체적인 규범에 상대적이다. 이는 민상법의 구체적 규범이 미리 결정된 사실 상황, 구체적인 권리 의무 및 해당 법적 결과에 대한 일반적인 지침과 보편적인 규정으로 드러난다. 보편적 규범이 제공하는 보편적 가치 기준, 보편적 행동 패턴, 보편적 책임 형태는 광범위한 적용성을 가지고 있어' 보편적 조항' 과' 제왕규칙' 이 된다. 결론적으로 성실신용원칙의 존재가치는 민상법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민상법에는 구체적인 규정이 없다는 데 있다. "재판사건의 근거로 직접 사용될 수 있고, 사건에서 인용할 수 있는 규범적 의의가 있다" [4]. 강한 탄력성은 그것의 불확실성을 가리킨다. 외연과 내포에서 이런 성실성에 대한 표현 자체는 모호하고 불확실하다. 이에 따라 성실신용원칙 내용의 극도의 팽창과 무한한 확장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백서 조항' 의 미형성, 불확실한 법적 특징 [5] 을 보여주는 다른 일반 조항보다 훨씬 능가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사회적 배경, 법적 근거, 개인적 심리상태에 따라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그에 대해 서로 다른 이해를 갖게 된다. 입법자들은 이런 공백 위탁서를 통해 판사에게 각종 새로운 상황과 새로운 문제를 처리할 수 있는 자유재량권을 부여했다. " [2]

성실 원칙의 본질은 입법자가 판사에게 부여한 자유재량권이다. 자유재량권은 대륙법계가 상대적으로 폐쇄적이고 규범적인 성문법에는 흔하지 않은 것 같다. 그러나 사회생활은 다채롭고, 경제활동은 복잡하고 변화무쌍하며, 인류 역사는 영원하다. 그것은 법률의 일부 고유 규정 때문에 정체되지 않았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가 서둘러 수리, 보충, 폐지 및 법률 제정을 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는 관념을 바꾸고, 무상을 폐지하고, 법률의 상대적 안정을 유지해야 한다. 이것은 법적 존엄성을 지켜야 할 필요성일 뿐만 아니라, 우리가 법에 따라 일을 해야 할 필요성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한편, 판사는 구체적인 사건을 심리할 때 법을 준수하고, 엄격하게 법을 집행하고,' 법 위본' (조문 규정) 과' 상위' (대법원 사법해석) 를 준수해야 한다. 우리는 법이 자판기라고 상상할 수 없다. 사건 사실은 동전이고,' 동전' 은 법관의 재판 [2] 이다. 사실, 판사는 구체적인 사건을 심리할 때 항상 현실의 정치, 경제, 윤리 등의 요소를 충분히 고려하며, 항상 일반적인 추상적인 행동 규범을 구체화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모든 법적 규범은 가장 구체적인 법적 규범이라도 사람들의 행동 규칙에 대한 추상과 요약이다. 그러나 입법자들이 아무리 노력해도 이 복잡하고 변화무쌍한' 세계' 를 완전히 덮을 수는 없다. 이 때문에 입법기관은 이미 정해진 법률이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의 객관적 사실을 많이 소진할 수 없다는 것을 감안하여 사법기관에 법률을 보충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 즉, 일부' 모호한 규정' 이나' 불확정 규정' 의 형식으로 판사에게 상당한 자유재량권을 부여하여 추상적인 입법정의와 구체적 사법정의 사이의 효과적인' 도킹' 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자유재량권은 없어서는 안 될 역할을 한다. 따라서 민상법에서 성실신용원칙에 관한 일반 규정이 사법활동에 대한 주동성과 창조적 인정을 의미한다고 말할 만한 이유가 있다.

셋째, 적용 범위와 기능

성실신용원칙이 민상법에서의 지위는 적용 범위의 확대와 기능의 보완에 따라 점차 확정된다. 물론 확장과 개선은 한 번에 이뤄지지 않을 것이다. 사실, 로마 시대에는 일찍이 성실한 신용과 같은 도덕관념이 법에 도입되었지만, 법률 조문에는 명확한' 성실한 신용' 개념이 나오지 않았다. 선의의 의미에 해당하는' 악의적인 항변소송권' 이 있어도' 법전' 에서 정면으로 규정하지 않았다. 그것은 단지 당사자들에게' 악의적' 으로 기소할 권리를 부여했을 뿐이다. 오늘의 말로, 만약 네가 성실하지 않고 신용을 지키지 않는다면, 나는 법률에 호소하여 법적 보호를 구할 것이다. 1789 년 프랑스 대혁명이 성공한 후 나폴레옹은 민법전 창제를 직접 이끌고 1804 년에' 프랑스 민법전' 을 공식 공포했다. 계약자유의 기치로 법전은 제 1 134 조에서도' 계약은 선의로 이행해야 한다' 고 신중하게 규정하고 있다. 이 규정은 개인 본위 법률사상의 영향을 받는 당사자의 의미 자치를 보완할 수 있을 뿐, 실질적 의미는 크지 않지만, 결국' 성실' 이 계약의 초심으로 작용하고 있다. 색슨 민법전 (1863) 시대에는 특별약속과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858 조에서 계약 이행이 선의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명시했다. 여기에 성실성의 개념이 분명히 제시되어 있지만 적용 범위는 당사자의 특별 약속으로 제한된다. 즉, 계약의 자유는 성실한 신용보다 효력이 높다. 사회 본위 법률사상의 지도 하에 생긴' 독일 민법전' (1896) 은 판사에게 더 큰 자유재량권을 부여하여 각종 민사분쟁을 더 잘 규제하고 사회경제관계를 조율하며 성실신용을 채무 이행의 기본 원칙의 위치에 정확하게 두었다. 법전 제 242 조는 채무자가 선의로 그 지급을 이행하고 무역 관례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스위스 민법전" 은 더 멀리 가서 성실성의 원칙을 한 걸음 더 나아가 모든 권리를 행사하고 모든 의무를 이행할 수 있는 높이로 밀었다. 스위스 민법전 제 2 조는 누구든지 권리를 행사하고 의무를 이행하는 것은 성실의 원칙을 따라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전쟁이 끝난 후 일본은 민법전을 다시 개정할 때 성실신용에 관한 상술한 국가의 유익한 규정을 흡수하고, 심지어 성실신용원칙을 통수민법의 기본 법률 원칙으로 일본 민법전 총칙 제 1 조 제 2 항에 썼다. 1980 년대에 이르러 중국 대만성의 민법은 성실신용을 최고치로 끌어올려' 세계 최신 입법을 개척했다' 고 말했다. 민법전 총칙' 제 148 조 제 2 항 권리 행사와 의무 이행은 성실신용법 규정에 따라' 일반조항' 으로' 제왕규칙' 으로 불릴 수 있다. 그것은 민법 분야 전체를 지배하며 성실한 신풍을 불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민법통칙' 과' 중화인민공화국계약법' 은 현대민법이론의 세계 발전 추세에 부합한다. 모든 민사주체가 관심을 갖고 종사하는 모든 민사활동은 성실신용원칙의 일반 규정을 따라야 하며, 성실신용원칙은 민상법의 기본법원칙의 지위를 정중히 떠받들어 적절한 기능과 역할을 더 잘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