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덩투탕자'의 '덩투'는 무슨 뜻인가요? 그것은 어디에서 오는가?
덩투는 음란한 사람이라는 뜻이다.
출처 - 전국시대 추. 송우의 <덩투지의 정욕에 대한 송가>.
원문 : 초왕을 모시는 제자로 의사를 임명했는데, 송유는 "옥자는 아름다운 인체와 부드러운 말투, 음란한 성품을 갖고 있다. 왕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너희와 함께 후궁에 드나들지 아니하리라."
번역: 초나라의 고관이 초왕 앞에서 송우를 욕하여 이르되, "송우는 조용하고 잘 생긴 남자. 그는 말을 아주 잘하고 여자를 아주 좋아합니다. 왕이 그가 하렘에 들어가고 나가는 것을 허락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이 시는 전국 말기 초나라가 쇠퇴하던 초양왕(楚祖王) 때 쓴 것이다. 이 시는 초나라 양왕의 방탕한 삶을 풍자하기 위해 지은 것이라고 한다.
'뎅투지'는 늘 음탕한 사람의 동의어로 사용됐다. Fu의 끝에서 시작됩니다. 사실 이 시의 인물은 중상모략을 하는 악역이라고 하기에는 타당하지만, 음탕하다고 하기에는 좀 우스꽝스럽습니다.
시에는 덩의 제자가 초왕 앞에서 송우의 음란함을 비방했다고 적혀 있다. 그는 음욕을 품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그는 또한 Deng Tu의 아내가 매우 못생겼다고 말했지만 Deng Tu의 아내는 그녀와 함께 다섯 명의 자녀를 두었습니다. 그는 Deng Tu의 아내가 음란한 사람이라고 반박했습니다. 제자의 아내에 대한 저자의 묘사는 추악할 뿐만 아니라 단순히 혐오스러울 뿐 아니라, 그 제자가 "그녀를 기쁘게 한다"면 그녀도 제자만큼 음욕이 강하다면 그녀는 "색맹"이라고 불릴 수 있다.
이 시는 남성과 여성의 관계에 대한 세 가지 태도를 묘사합니다. 제자는 여성을 사랑하는 여성이고, 송우 자신은 위선적이고 자만심이 강하며, 진장화 박사는 음탕하고 도덕적입니다. 저자는 자신을 제자들과 같은 이들에게 맞서기 위해 두 번째 유형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감정에 따라 행동하고 예절을 지키지 않는 세 번째 유형에 동의한다.
이러한 태도는 인간의 본성에 가깝고 예의에 부합하는 고대 중국 문인들의 남녀관계에 대한 대표적인 태도이다. 이는 도덕주의자나 간음하는 사람에 비해 참으로 바람직한 태도입니다. 따라서 고대 문학 작품에 자주 반영됩니다.
추가 정보:
등투자 이야기
등투자 의사는 초왕 앞에서 음욕을 품었다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송유는 자신의 동쪽 이웃에 아름답고 온건한 몸매를 지닌 여인이 있다고 주장했는데, 그 여인의 몸에는 아름답지 않은 곳이 없었다.
이 여자는 종종 벽에 올라가 그를 엿보는 지 3년이 지났는데도 그는 아직 그녀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러나 등자(鄧師)의 아내는 헝클어진 머리, 구부러지고 구부러진 귀, 갈라진 입술, 드문드문한 치아, 구부정한 등, 그리고 심각한 질병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등자(鄧師子)는 그녀를 매우 좋아했고 그녀와 함께 다섯 명의 자녀를 두었습니다. 이 비교를 통해 누가 음욕을 부리는지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나중에 이 이야기는 '덩투지'로 압축됐는데, 여자에 대한 욕심이 많은 사람들을 일컫는 말이다.
바이두백과사전—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