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법치의 기본 유형을 간략하게 기술하다.
A: 자본주의 법치는 자유자본주의 시대에 확립되어 해당 경제, 정치, 문화, 사회 기반을 가지고 있다. 자유자본주의 법치는 주로 인민주권원칙, 계약자유원칙, 잘못책임원칙, 분권균형원칙, 정당절차원칙을 포함한 일련의 법률원칙을 확립했다. 이러한 원칙들은 자본주의가 독점 단계에 들어선 후 크게 변화했고, 두 각도에서 법치 원칙을 흔들었는데, 하나는 파시즘이고, 하나는 사회화였다.
자본주의 국가의 법치 모델은 매우 많은데, 그중에는 영국 모델, 독일 모델, 미국 모델, 프랑스 모델, 전후 일본 모델이 비교적 두드러져 각각 특색이 있다. 영국에서 법치원칙은' 법치' 로 표현된다. 즉 법률을 제외한 누구도 다른 규칙의 구속을 받지 않는다. 이런 법치는' 실질법치' 라고도 불린다. 그것은 법이 형식적으로 엄격히 준수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법률의 내용도 중시해야 한다. 독일에서는 법치가' 법치국가' 로 이해되고, 행정권력 행사의 엄격한 합법성에 특별한주의를 기울이지만 법치의 내용에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이런 법치는' 형식법치' 라고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형식법치는 법률의 보편성, 안정성, 내적 일관성 등의 형식적 특징을 강조하며 뚜렷한 민족주의적 색채를 가지고 있어 법치하의 인치나 독재로 이어질 수 있다. 실질법치는 법률로 정부 권력을 구속하고 시민의 기본권과 자유를 보호하며 실질적 정의를 중시하는 것을 강조한다. 이런 법치에는 더 많은 자유주의적 색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