当前位置 - 무료 법률 상담 플랫폼 - 법률 자문 - 자율과 타율의 변론.

자율과 타율의 변론.

식당에서 밥을 먹으면 사람이 너무 많고 종업원이 너무 바쁠 때 돈을 지불하지 않고 빠져나갈 수는 있지만 그렇게 하지는 않을 것이다. 왜요

돈을 지불할 때 종업원의 손에 있는 돈을 마주하고 있다. 네가 먼저 지불하고 지불한다고 했잖아. 너는 단지 100 을 지불했지만, 너는 네가 200 을 지불했다고 말했다. 만약 이런 상황이 발생하면 종업원은 어떻게 분명히 말합니까? 다행히도, 이런 예는 실생활에서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나는 이런 현상을 처음 생각한 사람이 아니다. 미국 경제학자 카슈크 바수 (kaushik basu) 는 누군가의 지갑이 땅에 떨어지는 것을 보면 이성적인 관점에서 그것을 가져가야 한다는 것을 오래전부터 알아차렸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렇게 하는 것이 좋지 않다고 생각한다. 만약 그가 그렇게 한다면, 그는 이것이 매우 수치스러운 일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설령 그가 온몸으로 물러날 수 있다 해도, 그는 여전히 양심의 불안과 자책을 느낄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그는' 이성제한규범' 이론을 제시했고, 인간 사회에 어떤 행동을 선택하는 것을 막는 규범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런 행동이 당사자에게 얼마나 큰 효과를 가져올 수 있든 간에.

왜 이 규범이 유행할까요? 게임 이론은' 진화 안정과 균형' 이라는 관점에서 해석한다. 사회 진화의 관점에서 볼 때, 모든 사람이 남의 물건을 훔친다면 이 사회는 오래가지 못할 것이다. 그래서 법적 규정이나 처벌이 없어도 남의 물건을 훔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입을 모은다.

이성 구속규범' 은 사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자율적' 이며, 그것은 약속된 속된 도덕력에 의존한다. 이 규범은 법률의' 타법' 보다 자각적으로 준수되고, 기초가 더 강하고, 영향이 더 넓고, 더 자연스럽고, 비용이 적게 들 수 있다. 그러므로, 그것은 우리나라의' 법치국' 사업에 대해 계몽되어야 한다.

우선, 우리가' 자율적' 과' 타율' 의 역할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법률 만능' 의 사상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왜 일부 농촌에서는' 밤에 문을 열 수 있다' 고 할 수 있는데 도시에서는 안 되나요? 법의 보급도와 법 집행력의 분포로 볼 때 도시는 농촌보다 현저히 우월하다. 밤에 문을 닫지 않는' 현상의 형성은 주로 법의' 타율' 힘이 아니라 자연 상태의 인간의 자연도덕감정에 기반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타율' 은 가능한' 자율적' 을 바탕으로' 타율' 의 시행에 유리해야 한다. 만약' 타율' 이' 자율성' 을 무시하거나 심지어 그에 반하는 것이라면, 그것은 매우 나쁜 일이 될 것이다. 이 때문에 입법할 때 민간 풍속을 존중하고 민간법을 중시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법은 대체로' 지방지식' 이다. 국가의 수토를 중시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일체화' 를 강조한 결과,' 회하의 귤은 모두 쓴 귤' 일 뿐이다.

셋째,' 자율력' 의 형성은 비교적 안정된 공동체 (사회) 의 장기적 연기의 결과이다. 일단 이런 안정성이 뒤죽박죽이거나 깨지면, 이런' 자율성' 의 힘은 약화되거나 사라질 것이다. 왜 이전에' 야불폐쇄' 하던 농촌에는 도둑이 많아졌고, 심지어 조상의 무덤을 훔치는 현상까지 나타났습니까? 전통적인 도덕적 구속력이 약화되면서 많은 젊은이들이 나가서' 세상 물정' 을 만나는데, 조상의 무덤에 관계없이 돈만 받으면 된다. 같은 이치도 지난 20 년 동안 중국의 도시범죄가 급격히 증가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비교적 안정적이거나 폐쇄된 지인 공동체가 인구 이동이 잦은 낯선 공동체로 대체되고 있기 때문이다. 분명히 전자는 한 집단의 도덕적 구속력 형성에 불리하다. 동전의 양면으로서, 왜 농민공, 특히 농촌에서 도시로 들어가는 농민공이 범죄를 저지를까? 어떤 사람들은 집에 있고, 마을에 있지만, 시종 좋은 사람이고, 성실한 사람이다. 그들은 어떻게 한 번에 범죄를 저지를 수 있습니까? 이는 그가 갑자기 원래의' 자율장' 에서 벗어났지만, 새로운 환경은 그에 상응하는' 자율장' 을 주지 않았거나, 그가 이런' 자율장' 에 적응할 기회가 없었다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를 인식하면서 우리는 거시적으로 점진적인 개혁 사고를 확립해야 할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건설에 미시적으로 주의를 기울여 지역사회 규범의 무질서나 공백을 방지해야 한다. 동시에 개혁의 깊은 의미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즉 개혁의 최종 목적은 변화가 아니라 변화의 최종 목적은 변하지 않는 것이다.